블로그 메인
설날 전통 풍습과 까치, 두루미 그림

설날의 유래와 전통적인 풍습: 한국 최대 명절의 역사와 의례

설날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입니다. 이 글에서는 설날의 유래와 전통적인 풍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며, 설날을 기념하는 다양한 의례와 의미를 살펴봅니다.

설날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음력 1월 1일을 말합니다. 2024년은 양력으로 2월 10일 토요일이 설날이 됩니다. 한 해가 시작되는 첫날이니 지난 해의 아쉬웠던 것은 묻어 두고 새로운 마음으로 설을 맞이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설의 유래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다양한 의견으로 전해질뿐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고 해요.


전해지는 설의 대표적인 유래는 이러합니다.

  1. 새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했을 것이다.
  2. 해가 지남에 따라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 하는 '섦다'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3. '설다, 낯설다'의 의미를 가진 말로 완전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생겼을 것이다.
  4. 한 해를 새로 세운다는 뜻의 '서다'에서 생겼을 것이다.
  5. 설이라는 말이 17세기 문헌에 '나이, '를 뜻하는 말로 쓰인 것으로 보아 '나이를 더 먹는 날'의 의미를 가졌을 것이다.


이 외에도 수많은 유래가 전해지고 있어요.

저는 새해를 맞이할 때 1번처럼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을 갖고 맞이하는데요.

모두 2024년도 행복하고 탈 없이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설날의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백제에서는 설맞이 행사를 하였다고 전해지며, 신라 역시 왕이 새해를 축하하는 의례가 있었다고 합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양력을 기준으로 설을 삼아 쇠지 못하게 하였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고 합니다. 광복 이후에도 수십 년 간 양력 설 제도는 그대로 이어졌으나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었고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정해지면서 오늘날에는 설날로 이르고 있다고 해요. 특히 일제강점기에 양력 1월 1일을 신정(新正), 음력 1월 1일을 구정(舊正)이라고 하였는데 이 명칭은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설날의 풍습

종교 혹은 집안에 따라 차례를 지내지 않기도 하지만, 보통 설날 아침에는 설 차례(음식, 술, 떡국 등을 진설하고 지내는 제사)를 지내게 돼요. 차례는 4대 조상까지 한정하여 신주나 지방을 모시고 지내며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차례를 치르고 나면 성묘를 가기도 하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차례와 성묘가 끝나면 웃어른에게 세배를 하는데요. 세배는 새해에 웃어른에게 인사를 드리는 것을 말합니다.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새해에도 복(福) 많이 받고 원하는 바를 이루라는 의미, 그리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때 웃어른은 아랫사람에게 답례로 세뱃돈을 주고 덕담을 하는 풍속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저에게는 설날이 가장 기다려졌던 이유였어요. 세배를 하고 받는 세뱃돈이 정말 좋았거든요😍

설날을 손꼽아 오기 만을 기다렸던 이유였는데 세뱃돈을 줘야 하는 입장이 되어보니 조금은 무섭습니다😁


또 설날을 좋아했던 이유는 맛있는 음식을 많이 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에요. 특히 설날을 대표하는 음식인 떡국을 제일 좋아합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있는데, 바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요.


설날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놀이로는 윷놀이가 있어요. 윷놀이는 개인전, 팀전으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어서 명절에 하기에 매우 좋은 놀이입니다. 지역에 따라 규칙이 조금씩 다르기도 해요. 또 윷점이라 하여 한 해의 운수를 점쳐보기도 한답니다.



2024년 설날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랜만에 보는 가족들과 설 명절 스트레스의 최대 주범인 잔소리를 주고받기보다 화목하게 좋은 일만 있으면 좋겠어요.


이번 설날에는 맛있는 음식을 먹고, 윷놀이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는 건 어떨까요? 요즘은 간단히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도 많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사실 무엇이 되었든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출처 및 참고 자료

  1. 네이버 지식백과 - 설날 정보
  2. 위키백과 - 설날 정보
  3. 민속대백과사전 - 설 차례
최종 수정일: 2025. 7. 22. 오전 12:39
전체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