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플스토리 확률 조작 사건의 전말과 그 영향
메이플스토리의 확률 조작 사건을 다루며, 이 사건이 게임과 이용자에게 미친 영향과 논란에 대해 분석합니다.
메이플스토리
넥슨을 대표하는 온라인 게임인 메이플스토리는 2003년 4월에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2D 스타일의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이며 202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1억 8천만 명 이상의 회원 수를 확보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확률형 아이템은 일정한 확률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몬스터를 사냥하여 얻을 수 있는 드랍 아이템이 해당되고, 게임사의 캐시 아이템 중 일정 확률에 따라 나오는 아이템도 해당됩니다.
아이템은 플레이어의 높은 욕구를 유발합니다. 또한 게임의 재미와 도전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플레이어는 원하는 아이템을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시도하게 되죠. 따라서 게임사가 정하는 확률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게임 개발자는 시스템을 공정하고 균형 잡힌 형태로 구현해야 하는 것입니다.
확률 공개의 의무
과거에는 게임에서 사용되는 확률을 공개하지 않아도 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게임 산업에서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조하는 추세가 있었고, 결국 정부의 개입으로 확률을 공개하도록 변경되고 있습니다.
국회에서는 확률형 아이템 유형을 , , 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즉 몬스터를 사냥하여 얻는 드랍 아이템은 해당되지 않고, 소위 말하는 가챠(랜덤 뽑기) 아이템들이 해당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메이플스토리는 큐브 아이템으로 잠재 능력을 재설정하는 것이 있겠네요.
확률정보 공개를 위한 법은 현재진행형으로, 2024년 3월 22일 시행될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메이플스토리가 확률 조작을?
2021년 2월, 우연히 밝혀진 확률 조작 사실이 시작이었는데요. 이 사건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년여간 여러 차례 현장조사와 직권조사를 실시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는 큐브의 확률을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조정하고도 거짓 공지를 게시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조사 끝에 2024년 1월 3일, 넥슨코리아에게 전자상거래 법 위반 혐의로 약 116억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하죠.
메이플스토리 운영진은 2010년에 큐브를 출시했습니다. 큐브란 장비 아이템의 잠재 능력을 변경하거나 상위 옵션으로 올리는 캐시 아이템인데요. 게임사는 유저에게 불리하도록 확률을 변경하였음에도 이를 알리지 않은 것입니다.
화가 난 일부 유저들은 넥슨을 상대로 손해배상과 환불 청구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동영상을 참고하실 수 있겠습니다.
사담
메이플스토리를 했던 기억이 20년쯤 되어 가지만,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게임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게임 중 하나가 된 만큼 더욱 번창하고 좋은 게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용
- 메이플스토리 회원수 정보 - 위키백과
- 게임산업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 예고 - 법률신문
- 메이플스토리 확률 조작 사건 정보 -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