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주의는 공익을 망친다 문구

이기주의가 공익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을 예시로 드는 사회적 문제

이기주의는 공공의 이익을 해친다. 사교육의 문제를 통해 이기주의가 어떻게 사회적 불균형을 초래하는지 생각해보았다.

이기주의란?

이기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권력, 재산, 성공 등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이다. 따라서 이기주의자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타인을 이용하고, 종종 부정한 수단을 사용하여 권력을 유지한다. 쉽게 말해 남이야 죽든 말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상을 말한다.



이기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루어 볼 주제는 한 가지, 사교육이다. 대략 2, 30년 전으로 거슬러 가보자. 당시의 부모 세대는 본인이 이루지 못한 욕망을 자녀에게 기대했다. 아니, 욕망을 떠나 자녀에게 좋은 것만 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었을 수도 있다. 사회로 나가보니 좋은 대학교를 나와야 했으며, 좋은 직업을 가져야만 했다.


자녀의 목표는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이유를 불문하고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진학시켰으며, 공무원을 비롯한 '사자 직업'을 가지도록 강요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말은 그냥 속담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결국 대한민국을 청소년 자살률 1위로 만들었다. 우리나라가 무엇이 부족해서 이런 결과를 냈는지 기가 막힌다.


이것을 달리 보면 이기주의에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명문 대학교가 아니면 패배자의 프레임을 씌운 학교와 언론이 만든 결과이며, 높은 성적만이 찬란한 미래를 만든다고 고액의 비용을 받은 학원들과 과외가 만든 결과이다. 그리고 정말 그런 줄 알고 아득바득 일하며 교육이라면 이것저것 다 시킨 부모들이 만든 결과이다. 아! 수많은 부모를 열등감에 빠지게 했던 고학벌, 높은 지위의 사람들도 한몫했겠다.


우리나라는 출산율 꼴찌라는 타이틀도 있다. 현재 결혼 적령기를 지나고 있는 청년들이 당시의 자녀들이다. 평생 공부만 했는데 찬란한 미래는커녕 밥 벌어 먹고살기도 힘든 세대가 아이를 낳을 정신이 어디 있겠는가?


출산율 저하의 이유는 경제적, 양육의 두려움, 성 불평등, 장시간 노동 등등 정말 수많은 원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나는 단순하게 청년들이 행복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자라면서 느낀 다양한 힘듦을 과연 누가 짊어지고 싶어 할 것인가?


누구를 탓할 수는 없다. 본인은 손해 보지 않으려는 우리나라 국민이 다 같이 만든 결과이다. 공부가 중요하지 않다고 하면 누가 학원을 다니겠는가? 공부의 중요성을 조금은 과장해서 말할 수도 있지 않은가? 비단 사교육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인류의 이기주의는 돌이키기 힘들 정도로 환경을 오염시켰으니 말이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보니 한 마디로 정리가 되었다.

"이기주의는 공공의 이익을 해치는구나."


결국 모든 불행은 우리가 겪어야 한다.

최종 수정일: 2025. 3. 26. PM 11:44
전체 댓글0